-
[Ver 0.0.1]EA (Enterprise architecture)기본 IT용어 2021. 6. 30. 10:49
(Enterprise Architecture) EA (Enterprise Architecture)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는 기준과 절차에 따라 업무, 응용, 데이터, 기술, 보안 등 기업 전체의 구성요소와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입니다.
EA는 자크만이 IBM 재직 중인 1987년 <정보시스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라는 논문을 통해서 개념적으로 처음 언급되었습니다. 이후 미국 정부에서 자크만의 개념을 받아들여 정보 자산 관리의 표준이 되었고 1999년 미국 연방 적부 CIO 위원회에 의해서 미국 연방정부 아키텍처 계획 가이드라인에 반영되어 , FEAF(미국 연방정부 EA 프레임워크)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EA는 비즈니스 전략을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추적성을 확보하여 사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비록 생존이 우선이 스타트업 입장에서도 향후 성장이나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EA개념을 이해하고 적용 가능한 부분에 대한 고민은 필요합니다.
EA 산출물
구분 산출물 내용 예시 원칙 조직의 방침과 전략 전략, 방침, 목표 등... 표준화 표준화를 참조모델로 제공 데이터,프로세스, 보안/성능,기술 등 표준 아키텍처 모델 현행(AS-IS)와 이행(TO-BE)에 대한 아키텍처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목표 아키텍처 이행계획 업무 시스템의 최적화 로드맵 GAP 분석, 아키텍처 검토/정의 EA 구현 과정
과정 예시 관련 아키텍처 비즈니스 구현 고객이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비즈니스를 구현함 BA 데이터 구현 비즈니스(고객, 상품, 결제, 배송 등)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설계/구현 DA 응용 구현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실현할 수 있는 응용을 구현 AA 기반 기술 구현 응용을 정상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 및 구현 TA EA 구현을 위한 참조모델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화 구셩요소의 표준화된 분류체계와 형식에 대한 모범사례를 참조모델이라고 합니다.
참조모델은 복잡한 EA 구축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기업에서 손쉽게 EA를 도입, 운영 및 협업의 기회를 촉진하기 위한 최고의 사례를 제공합니다.
성과 참조모델(Rerformance Reference Model)
주요 정보화 기획 및 사업성과에 대한 기여도 등을 평가하기 위한 성과 참조 모형
업무 참조모델(Business Reference Model)
업무에 대한 공통적인 명칭 및 분류 기준으로 조직이 아닌 기능 중심으로 접근하고 다른 참조모델 수립의 기준 자료로 활용되는 업무 참조 모형
서비스 컴포넌트 참조 모델(Service Component Reference Model)
업무를 지원하는 서비스 요소들을 분류한 것으로 업무를 지원하는 응용 서비스를 컴포넌트 단위로 정의한 서비스 컴포넌트 참조모형
데이터 참조 모델(Data Reference Model)
업무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유형별로 분류한 것으로 업무와 서비스 컴포넌트를 지원하는 데이터의 분류와 의미를 정의한 데이터 참조모형
기술 참조모델(Technical Reference Model)
업무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술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으로 서비스 컴포넌트 구축을 지원하는 기술의 표준과 규격을 정의한 기술 참조 모형
'기본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r 0.0.1]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 (0) 2021.07.05 [Ver 0.0.1]IT 서비스 관리(ITSM) (0) 2021.07.03 [Ver 0.0.1]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0) 2021.06.29 [Ver 0.0.1]MVP(Minimum Viable Product) (0) 2021.06.28 [ver 0.0.1]린스타트업(Lean Startup) (0) 2021.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