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리액트-신입]2일차 - 팀 개발 프로세스 이해 I편( ver 22.07.01)
    신입개발자-교육/리액트(React) 2022. 7. 11. 15:37

    DEVELOP PROCESS

    1.git issue 기반 개발 프로세스 개요

    - 이슈(issue)는 프로젝트 관리 관점에서 이미 발생된 위험(문제)를 의미함

    - 이슈는 발생된 문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해야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음

    - 이건 개념을 개발 프로세스에 도입한 것이 issue 기반 개발 프로세스임

    -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

     

    2. git issue 프로세스

    git issue 기반 개발 프로세스

    - 리뷰는 해당 스프린트가 종료될때 진행함

     

    3. 이슈의  종류 및 생성 템플릿 사용

    1) 이슈의 종류 

    feature - 신기능, 작업후 develop와 병합 후 삭제
    hotfix - main(이미출시된 버전)에서 수정할 작업 - 대부분 오류패치
    bugfix - develop나 staging에서 발생한 오류(버그)를 수정하기 위한 패치
    [예시]

    2) 이슈 템플릿

    ### 개요

    ### 작업내용 및 테스트 시나리오

    ### 참고

    [예]

    → 신규의 경우 이슈 레이블(상태)를 feature로 생성함

    → 원인과 해결방안, 수정한 부분 (수정 파일은 필수, 함수나 수정 로직위치까지는 선택)

    → 해당 문제의 해결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시나리오 또는 유저 스토리

    ### 개요
    고객이 로그인을 앱 실행시 자동 로그인 기능을 요청함
    또는

    현재 로그인시 앱이 죽는 문제 발생하여 원인은  변수선언이 잘못된것으로 판단하여 수정하였음


    ### 작업내용 및 테스트 시나리오
    1. 수정작업
    UserLogin.js의 logIn 함수를 수정함
    2. 테스트 방법
    앱을 실행후 자동 로그인으로 로그인되고 홈화면으로 이동하는 지 확인


    ### 참고
    JWT : jwt.io
    React 홈페이지의 hooks 부분 참고

    4. github를 활용한  issue 생성 및 관리

    → 사내 표준 이슈관리 프로그램이 있으면 해당 프로그램 사용 (예: 지라, 레드마인 등…)

    1) issues 탭 확인

    2) 사전 작업 - 관리자역할 

    - issue용 템플릿 작성 
    - labels 정의 
    - Milestone 설정 
    → 서비스 관점에서 일관 배포할 지점 (버전 정보)
    [ issue용 템플릿 작성 ]


    - .github 하위에 ISSUE_TEMPLATE 폴더에 .md 파일형태로 템플릿이 생성됨 
    [labels 정의 ]


    [Milestone 설정]

    3) “New Issue”를 통해서 issue를 생성

    → Labels, Milestone, Assignees은 반드시 설정함

    →이슈를 생성하면  “제목  #이슈번호” (예: 자동로그인 #1)과 같이 이슈가 생성됨

    → 여기서 #뒤의 이슈번호가 관리의 기준이 됨

     

    4) 생성된 이슈 번호를 기반으로 brach 생성

     

Designed by Tistory.